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재테크/자기개발

청년도약계좌, 1억 만들기 통장 (가입조건, 청년희망적금 비교)

by 2022. 3. 16.

1억 만들기 통장, 청년 도약 계좌 가입조건

청년 도약 계좌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내걸었던 공약으로 근로 및 사업소득이 있는 19세~34세 청년의 중장기 재산형성을 돕기 위한 것으로 종잣돈 1억을 모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금융지원 정책이다.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청년이 연 3.5%의 복리로 10년 동안 납입을 가정했을 때 매월 7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월 40만 원 장려금을 지원해 10년 만기가 됐을 때 1억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청년도약계좌 1억만들기 통장
청년도약계좌 청년 금융지원 정책

 

 

청년 도약 계좌는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금의 차이가 있다.

-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월 납입액은 최대 30만 원이며 정부로부터 월 최대 40만 원 지원을 받는다.

- 연소득 2400만 원 초과~3600만 원 이하: 월 납입액은 최대 50만 원이며 정부로부터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을 받는다.

- 연소득 3600만 원 초과: 월 납입액은 최대 60만 원이며 정부로부터 월 최대 10만 원 지원받는다.

- 연소득 4800만 원 초과: 월 납입액은 최대 70만 원이며 정부로부터 지원되는 금액은 없지만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지원대상

- 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다. 단, 이미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라면 청년 도약 계좌 가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청년 도약 계좌에 가입을 하고자 한다면 종전의 청년희망적금은 중도 해지를 해야만 한다.

 

청년 도약 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나이 만 19~34세 청년
가입조건 근로, 사업소득이 있다면 누구나 연소득 3600만원 이하
정부지원 방식 및 최대 정부지원액 10년간 5754만(소득기준에 따라 저축액 70만원이 되도록 정부가 일정금액을 지원) 2년간 최대 45만6000원(추가이자금액 정부지원)
이자율 연 3.5% 은행금리 기본 연 5%, 정부저축 장려금 최대 36만원(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 비과세 혜택과 은행별 우대금리 등이 포함되면 최대 연 10% 적금 가입 효과
기간 10년간 70만원 2년간 50만원
상품운용방식 주식, 채권, 예금형 선택 적금
290만명 가입시 필요예산 10년간 34조 8000억 2년간 1조 440억

청년 도약 계좌는 청년희망적금과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두 상품 모두 적금상품적인 측면에서는 비슷하지만 청년희망적금은 100% 적금 상품인 반면 청년 도약 계좌는 가입자가 투자운용 형태를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또한 청년희망적금은 연소득에 관계없이 납입한도가 최대 월 50만 원으로 고정이었으나 청년 도약 계좌는 소득구간에 따라 상이하고 소득이 많을수록 불이 가능 금액이 커진다.

마지막으로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2년까지 납입하는 경우 만기 때 한 번에 최대 36만 원을 지원하는데 청년 도약 계좌는 매달 정부 장려금이 나온다. 정부 장려금은 가입자 소득구간별로 다르고 연소득이 작을수록 정부 장려금이 커진다.

 

 

 

 

2022 청년희망적금 대상자 조건 신청방법

2022년 2월 21일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된다. 2030 세대의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해 마련된 제도로 만 34세 이하, 연소득 3천600만 원 이하 청년의 저축장려금을 지급하는 상품으로 은행별로 차이가 있지

money-mate.tistory.com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만들기 이자율 2.5% 풍차돌리기

소액으로 시작, 목돈을 모으는 성취감까지! 26주 동안 꾸준히 도전하고 성공의 뿌듯함을 느낄 수 있는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카카오뱅크 26주 6개월 단기 적금 6개월의 짧은 기간 동안 매주 소액

money-mate.tistory.com

 

 

2022 연봉별 월급 실수령액, 올해 내 월급은 얼마?

2022년 최저시급이 9,160원으로 2021년 대비 5% 인상되었다. 2022년 기준 세전 급여가 1,914,440원 이하라면 최저임금 위반에 해당한다. ☞ 2022년 최저임금 9천160원 5.0% 인상 확정, 새해부터 효력 발생 2022

money-mate.tistory.com

 

 

 

댓글